네이버가 24일 초거대 인공지능(AI) 서비스를 위한 거대언어모델(LLM) '하이퍼클로바X’를 공개했다.
이는 한국어에 최적화된 국산 LLM으로, 마이크로소프트(MS)의 'GPT-3.5’와 비교해 한국어를 6천500배 더 많이 학습한 것이 특징이다.
네이버는 이를 통해 국내 AI 생태계를 확장하고, 해외 빅테크와의 경쟁에서도 주도권을 잡겠다는 목표를 밝혔다.
네이버는 이날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'팀 네이버 콘퍼런스 단 23’을 개최하고 하이퍼클로바X와 이를 플러그인(Plug-in) 형태로 연동해 필요한 기능을 호출할 수 있는
‘클로바 X’, 검색에 특화해 개발된 대화형 AI 서비스 ‘큐:’(Cue:)를 한꺼번에 선보였다.
서비스를 쇼핑, 광고, 금융, 창작, 해외 사업 등으로 연계할 전략도 발표했다.
네이버, '하이퍼클로바X’로 한국어 AI 시장 선도
[BY 그리다소프트] 출처=네이버 Deview 키노트 영상 캡처 네이버가 24일 초거대 인공지능(AI) 서비스를 ...
m.post.naver.com
'IT를 그리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알뜰폰, 저렴하고 다양한 서비스로 인기…하지만 이통사 의존도는 어떻게? (2) | 2023.09.23 |
---|---|
iPhone15, 9월 13일 공개 예정. 전작과 달라지는 점은? (0) | 2023.09.12 |
네옴시티, IT 기술과 혁신으로 미래를 연결하다 (2) | 2023.08.22 |
혁신적인 기술의 가능성, 초전도체 (2) | 2023.08.18 |
UFO와 미스터리, 인류의 끊임없는 탐구 대상 (1) | 2023.08.16 |
댓글